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탈플라스틱 대장주, 관련주 TOP10

by 초보분슥가 2025. 5. 3.

 

 

탈플라스틱 대장주, 관련주 TOP10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탈플라스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이재명 전 대표가 국가 차원의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는 등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탈플라스틱 관련주 중에서도 상승 가능성이 높은 TOP10 종목을 엄선하여 소개합니다. 과연 어떤 기업들이 탈플라스틱 시대를 주도할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

탈플라스틱 시장의 현황 및 전망

탈플라스틱, 왜 중요할까요?

플라스틱 폐기물은 토양과 해양을 오염시키고, 미세 플라스틱은 먹이사슬을 통해 우리 식탁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생산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탈플라스틱 정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 및 시장 동향

대한민국 환경부는 탈플라스틱 관련 사업과 지침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도 플라스틱 사용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탈플라스틱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바이오플라스틱의 성장 가능성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플라스틱은 옥수수, 사탕수수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져 친환경적입니다.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은 기술 발전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가 기대됩니다.

탈플라스틱 대장주 TOP3

1. 진영: 고기능성 플라스틱 시트 연구 개발의 선두주자

진영은 1996년에 설립된 플라스틱 소재 기반의 고기능성 플라스틱 시트 연구·개발·제작 기업입니다. ASA, ABS, PP, PMMA 등 다양한 소재로 건축·가구용 표면 마감재와 가전용 내외장재를 생산하며, 한샘, 현대리바트,

LG

전자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특히, 폐플라스틱과 폐비닐에서 고온 열분해 방식으로 나프타를 추출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바이오 플라스틱 제조에 필수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5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2억 원이며, 영업손실은 29억 원입니다.

2. 세림B&G: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제조의 강자

세림B&G는 식품 포장용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는 진공성형 사업부문과 친환경 생분해 원료를 활용한 생분해 필름 제조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생분해 원료는 친환경 수지인 PBAT와 PLA를 합성하여 사용하며, 환경 친화적인 생분해 필름을 개발하고 해외 환경인증 등을 획득하였습니다. 2025년 3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 감소했지만, 친환경 시장의 성장성을 미리 예측하고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다양한 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3. 삼륭물산: 친환경 카톤팩 시장의 선두 기업

삼륭물산은 1980년에 설립되어 위생용 포장용기를 제조 및 판매하며, 1992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주력 사업으로 액체음료용기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으며, 종이와 생분해성 수지를 결합한 ‘GB-8’이라는 친환경 포장재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습니다. 2025년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증가, 영업이익은 390.8% 증가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주목해야 할 탈플라스틱 관련주 TOP10

순위 기업명 주요 사업 투자 포인트
1 진영 고기능성 플라스틱 시트 연구·개발·제작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 및 관련 지분 보유,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 확보
2 세림B&G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제조 완전 생분해 가능한 소재 사용,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수요 확대
3 삼륭물산 식품 포장용 친환경 카톤팩 제조 종이 기반 친환경 포장용기 개발·생산, 정부의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선정
4 그린케미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생산 바이오플라스틱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인 핵심 원료 공급
5 한국팩키지 종이 기반 친환경 포장용기 제조 플라스틱 컵과 용기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재 개발·생산
6 에코플라스틱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 제조 자동차용 플라스틱 부품에 친환경 소재 도입, 차량 경량화 및 탄소배출 저감 효과
7 코오롱ENP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 친환경 및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개발,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기술력 확보
8 씨티케이 화장품 플랫폼 기업 다양한 폐기물을 원료로 활용한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제조 기술 보유
9 동성케미컬 석유·정밀화학 제품 제조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사업 추진,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 및 제품 생산 인프라 구축
10 디아이씨 자동차부품, 중장비부품 제조 폐플라스틱 화학적 분해 기술 보유, 플라스틱 재생 원료 생산
11 삼양패키징 PET 용기 및 아셉틱 방식 음료 OEM PET 사용량 절감 가능한 아셉틱 기술 활용, 국내 유일의 종이캔 ‘카토캔’ 생산 시설 보유

투자 시 유의사항 및 전망

탈플라스틱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기업별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또한, 정부 정책 변화와 글로벌 환경 규제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결정 전 반드시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신중하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댓글